누수보수

인젝션방수

안전위원 2024. 1. 13. 03:57

누수 자국들

 

건물에

균열과 크랙으로 인하여

벽체나 천장에 누수가 발생되어

누수를 차단하는 방법과 시공법은

상황에 따라 천차만별 이라 말씀 드릴수 있지만,

비용과 시간

가성비를 따져 효과를

보실수 있는 인젝션 우레탄 발포주입

누수 차단 공법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인젝션 그라우팅

공법중 우레탄발포주입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에서

누수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시공법 이며,

 

각종

구조물의 내부 공동 충진,

콘크리트 균열 누수부위에 있어서 반경질

우레탄발포지수제는 미세한 크랙부위까지

고압주입되어 물과 만나면 부피를 팽창시켜 누수부위를 차단합니다.

 

지하주차장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물 누수부위

진동이 있는 구조물의 균열 누수부위

콘크리트 이어치기 죠인트 누수부위

콘크리트 구조물의 습한 누수부위

주차장 램프구간 누수부위

집안 방 거실 현관

누수부위 등...

 

우레탄 

발포주입 시공은

누수가 되는 콘크리트 면이라면

어느 건물이든 어느공간이든 다 할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천공타공후 패커고정상태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 기적 안전성 및 내구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함 요소가 누수 균열입니다.

 

누수균열은

보통의 건조균열과 달리

구조체 철근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침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적 안전성능과 내구수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누수균열을 보수 또는 보강하여야 합니다.

 

우레탄 발포주입 시공 순서는

누수가

되고있는 균열이나

크랙 부위를천공 드릴로

구멍을 내어 패커를 고정 시켜줍니다.

 

주입구 천공작업시

구조물의 두께 천공방법으로

15cm이하

각도를 주어 천공하면 주입시 압력 때문에 영향을

주므로 균열 부위에 직접 천공하며, 가능한 한 깊이

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15 - 50cm

균열부위로부터 구조물의 두께의 1/5 정도 떨어진 거리

에서 45°각도로 균열부위를 관통할 수 있도록 천공 합니다.

50cm이상

균열부위로부터 20cm-30cm 떨어진 위치에서 45°각도로

균열 부위를 관통할 수 있도록 천공 합니다.

천공간격

시공부위의 상태에 따라 틀리며, 일반적으로 20cm-

25cm 간격으로 천공을 합니다.

천공깊이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두께에 2/3지점까지 천공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우레탄 발포주입

 

다음은

고정시킨 패커에다

우레탄 발포기를 꽂아

주입제를 넣어 줍니다.

 

 

주입이 끝나면

누수가 되고 있는 미세한

크랙까지 액체로 도포가 되어

부풀어 올라 누수되는 부위를 바로

차단 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 공정은

원상복구 또는 부분도장이며

이 공정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시면 된답니다.

 

건물

누수와 관련하여

상황에 따라 많은 시공방법 속에

그 중

한가지 방법인 우레탄 발포

시공법을 소개 드려 보았습니다.^^

 

 

더 많은 시공 공사와

자료 보기>>>>>>   

네이버 블로그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tjgusgus17

 

한길건설 010 5899 2316 (김소장) : 네이버 블로그

시설물유지 보수/보강 (구조보강업체) 출장.견적 010 5899 2316 시공.상담 031 555 2316 상호:한길건설 사업자:857 07 02650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978-101호(한길건설)

blog.naver.com

유튜브 실시간 견적의뢰 및 상담하기  https://www.youtube.com/@user-nt9yw5wc3l/streams

 

*공사 의뢰 및 견적시 현장사진을 제 핸드폰 또는 메일로

첨부하여 말씀해 주신다면 더 정확하고 더 빠르게

답변 드릴수 있으니 참조 하시길 바랍니다.

문의: 010-5899-2316 김소장

전화: 031 555 2316

메일: tjgusgus17@naver.com

감사합니다.

 

'누수보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축현장 균열보수 와 누수보수  (2) 2023.01.18